나의 이야기

성지 순례(聖地 巡禮) 《 문창후 고운 최치원 선생 춘,추향제 》孤雲 崔致遠先生을 모신 書院·影堂·祠宇

오뚜기방송 2016. 3. 21. 18:30

  성지 순례(聖地 巡禮)


     문창후 고운 최치원 선생 춘,추향제

   孤雲 崔致遠先生을 모신 書院·影堂·祠宇

 

명칭
(名稱)
창건년대
(創建年代)
배향자
(配享者)
주소지
(住所地)
제향일
(祭享日)

남악서원
南岳書院

1968

문창후· 설  총· 김유신
文昌侯· 薛  聰· 金庾信

경남 진주시 금곡면 죽곡리 817-1(죽곡길102)         

慶南 晋州市 金谷面竹谷里817-1     

음 3월 18일

무성서원
武城書院

1615

문창후· 신  잠· 정극인
文昌侯· 申  潛· 丁克仁
송세림·정언충·김약묵
宋世琳·鄭彦忠·金若默
김  관
金  灌

전북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500 (원촌1길 34)          

全北 井邑市 七寶面 武城里 500       

음 2월, 8월
中丁日

문창서원
文昌書院

1969

문창후 영정
文昌侯 影幀

전북 군산시 옥구읍 상평리 (상평향교길)                

全北 群山市 沃溝邑 上坪里             

음 10월 3일

백연서원
栢淵書院

1670

문창후·김종직
文昌侯·金宗直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백연리 (복원예정)             
慶尙南道 咸陽郡 咸陽邑 栢淵里             

?

벽성서원
碧城書院

1965

문창후·김유신· 김  보
文昌侯·金庾信· 金  普
김  선· 김극일· 허  주
金  璇· 金克一·  許  
김종직·김영정·김일손
金宗直·金永貞·金馹孫
김우항
金宇杭

전라북도 김제시 교동 38 (향교길)                  지도보기 src 

全羅北道 金堤市 校洞 38               

 봄.  가을

서악서원
西岳書院

1561

문창후· 설  총· 김유신
文昌侯· 薛  聰· 金庾信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615 (서악2길 23)               
慶尙北道 慶州市 西岳洞 615           

음 2월, 8월
中丁日

염의서원
廉義書院

1685

문창후·고경명·고용현
文昌侯·高敬命·高用賢

전북 군산시 옥산면 당북리 (염의서원길 156-9)       

全北 群山市 玉山面 堂北里 723       

음    9월
中丁日

용강서원
龍崗書院

1977

문창후 영정
文昌侯 影幀

경상북도 안동시 용상동 산 63-1(숲쟁이길)             

慶尙北道 安東市 龍上洞 山 63-1    

매년   5월

下丁 日

학남서원
鶴南書院

1916

문창후 영정
文昌侯 影幀

경북 청도군 각남면 일곡리 (구곡길 125-1)       지도보기 src

慶北 淸道郡 角南面 日谷里 183                  

  음 2월10일,  

8월10일

대곡영각
大谷影閣

1971

문창후 영정
文昌侯 影幀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  541                             

大邱廣域市 達西區 大谷洞  54                    

음 3월10일

두곡영당
斗谷影堂

1846

문창후 영정
文昌侯 影幀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두척동 637 (두곡길 54)    慶南 昌原市 馬山會原區 斗尺洞     

양  4월18일

아산영당
鵝山影堂

1888

문창후· 익현 영정
文昌侯· 益鉉 影幀

경북 울진군 울진읍 명도리 464 (명도4길 70-41)

慶北 蔚珍郡 蔚珍邑 明道里 464       

음 10월10일

지산영당
芝山影堂

1737

문창후 영정
文昌侯 影幀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 715-1 (지산재길 51)
光州廣域市 南區 良瓜洞 715-1        

음 9월  9일

금 산 사
金 山 祠

1931

문창후·설   총·김유신
文昌侯·薛   聰·金庾信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창곡리 산14 (언창길)

京畿道 華城市 八灘面 昌谷里 산14            

음 2월, 8월
中丁

금 운 사
錦 雲 祠

1970

문창후 영정
文昌侯 影幀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금호리 (강영로)  
慶尙北道 盈德郡 江口面 錦湖里                  

음 3월 10일

단 동 사
丹 洞 祠

1949

문창후 영정
文昌侯 影幀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송천리
全羅北道 益山市 熊浦面 松川里                 

음 2월, 8월
中丁

도 충 사
道 忠 祠

1907

문창후· 청· 몽량 영정
文昌侯· 淸· 夢亮 影幀

충남 서천한산면 원산리189 (삼일로 681번길)

忠南 舒川郡 韓山面 院山里 (也仁야인)        

음 3월 15일

부 성 사
富 城 祠

1920

문창후 영정
文昌侯 影幀

충남 서산시 지곡면 산성리 (산성내동길 47-17)
忠南 山市 池谷面 山城里 645-2          

음  2월, 8월
中丁

운암영당

  雲岩影堂  

1923

문창후 영정
文昌侯 影幀

경남 하동군 양보면 운암리 912-1(궁단로 217-7)

慶南 河東郡 良甫面雲岩里912-1      

매년음력

 3월 10일

지 산 사
芝 山 祠

1924

문창후· 익현 영정
文昌侯· 益鉉 影幀

전라북도 순창군 인계면 지산리 (노가길)
全羅北道 淳昌郡 仁溪面 芝山里      

음 3월 20일

청 성 사
淸 城 祠

1768

문창후 영정
文昌侯 影幀

경기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 산23-2(청성사길 99)京道 抱川市 新北面 加采里 산23 -2                길찾기

음 9월 15일

상 서 장
上 書 莊

1936

문창후 영정
文昌侯 影幀

경북 경주시 인왕동 274 (서라벌대로 105-12)
慶尙北道  慶州市 仁旺洞 274          

양 4월 16일

문창공

文昌公影

1755

문창후 영정
文昌侯 影幀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 766-4 (도평로 38길 51)

大邱廣域市 東區 道洞766-4 東村     

음 3월 3일

학 사 당
學 士 堂

1940

문창후 영정
文昌侯 影幀

경남 합천군 가야면 구원리 (가야산로)        
慶尙南道 陜川郡 伽倻面 舊源里 紅流洞       

한 식

옥 산서 원
玉 山書 院

1929

문창후·김용니·두정란
文昌侯·金用泥·杜廷蘭
김  완· 전영방·강진문
金  浣· 田永芳·姜進文
강진백·김경신·김   엽
姜進伯·金景信·金   嶪
김려생·신석보·신대욱
金麗生·申碩輔·申大旭
두안복·문창현
杜安復·文昌炫

전북 군산시 옥구읍 상평리 510-9 (상평향교길)
全北 群山市 沃溝邑 上坪里             

음   9월
季丁日

현 충 단
賢 忠 壇

1764

문창후·조태채·이건명
文昌侯·趙泰采·李健命
최익현·임병찬
崔益鉉·林炳讚

전북 군산시 옥구읍 상평리 626 (광월길 33-50) 

全羅北道 群山市 沃溝邑 上坪里 626            

음   9월
上丁

해운대 동백섬

海雲臺 冬栢島

1971

문창후 고운 최치원 선생 동상
文昌侯 孤雲 崔致遠 先生 銅像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708-3 (동백로99)    

釜山廣域市 海雲臺區 佑洞 708-3           

양  4월17일

최치원기념관
崔致遠紀念館

2007

문창후 옥 조각상

文昌侯 玉 彫刻像

 중화 인민 공화국 양주시 당성유적지 내 

 中华 人民 共和國 楊州市 唐城遺蹟地 內 

매년 양력

10월15일


 

 

              孤雲  崔 致 遠 先生 "詩"     

  

"숲속 꽃 피는 아름다운 마을"   花開洞화개동


송상청라결 장미꽃 <<松上靑蘿結>>

'소나무 위에 푸른 댕댕이가 맺었고'

간중류백월  <<澗中流白月>>

'간수 가운데는 흰 달이 흐르더라'

석천후일성  <<石川吼一聲>>

'돌사이 흐르는 물이 한 소리를 부르짖으니'
만학다비설 클로버 <<萬壑多飛雪>>

'일만 골짜기에 나는 눈이 많더라' 


장미꽃慶州崔氏 仁川公 (諱)濟 宗親會장미꽃


 

孤雲  崔 致 遠 先生 "詩"
  

花開洞화개동 클로버"숲속 꽃 피는 아름다운 마을"  

송상청라결 장미꽃<<松上靑蘿結>>'소나무 위에 푸른 댕댕이가 맺었고'

간중류백월 단풍잎<<澗澄流白月>>'간수 가운데는 흰 달이 흐르더라'

석천후일성 <<石川吼一聲>>'돌사이 흐르는 물이 한 소리를 부르짖으니'
 만학다비설
클로버<<萬壑多飛雪>>'일만 골짜기에 나는 눈이 많더라'

 

장미꽃慶州崔氏 通政公 (諱)商哲宗親會장미꽃



 

장미꽃慶州崔氏 忠毅公 (諱)夢亮 宗中會장미꽃


 


     




孤雲  崔 致 遠 先生 "詩"


泛海 범해  바다에 배를 띄우다

掛席浮滄海 괘석부창해

돛을 달아 푸른 바다에 배를 띄우니

長風萬里通 장풍만리

바람 받아 고국『新羅』을 통하네

乘槎思漢使 승사사한사

뗏목 타고 다녔던'한나라' 사신이 떠오르고

採藥秦童 채약억진동

불사약 찾아왔다던 '진나라' 동자가 생각나네

日月無何外 일월무하외

해와 달은 머나먼 허공 밖에 있고

乾坤太中 건곤태극중

하늘과 땅은 태극중에 있구나

蓬萊看咫尺 봉래간지척

봉래산이 지척간 눈 앞에 보이니

吾且訪仙翁 오차방선옹

  나 이제 바야흐로 신선을 찾으리라 




경주최씨의 유래 《慶州崔氏의 由來


경주(慶州)로 관(貫)한 최씨(崔氏)는 우리 나라 모든 최씨(崔氏)의 대종(大宗)으로 신라(新羅) 개국전(開國前) 돌산(突山) 고허촌장(高墟村長) 소벌도리공(蘇伐都利公)을  득성(得性) 원조(元祖)로 하고 그의 후손(後孫)인 문창후(文昌侯) 휘(諱) 치원(致遠)을 시조(始祖)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있다. 비교적 다른 성씨(姓氏)에 비하여 고려이후(高麗以後) 조선(朝鮮)이 개국(開國)되면서 벼슬을 멀리 하고 학문(學問)에 힘써 많은 학자(學者)를 배출(輩出)하였으며 국난(國難)에 처(處)할때마다 충의(忠義) 열사(烈士)가 지방 도처에서 발기(勃起)하여 가산(家産)은 물론(勿論) 가솔(家率)까지도 돌보지 않고 활약(活躍)하였다.


이는 오직 구국(救國)의 일념(一念)에서 우러난 애정(哀情)으로 몸과 마음을 바쳐 왔으며 두려움을 모르고 왕 (王)앞에서 직간(直諫)하는 기질(氣質)은 오늘을 사는 우리 모두에게도 불의(不義)에 굴(屈)할 줄 모르는 품성(稟性)에서 대변(代辯)해 주고 있다.


비단 경주(慶州) 최씨(崔氏)뿐 아닌 거의 모든 최씨(崔氏)의 기질(氣質)이요. 품성(稟性)이라 하겠으며 가위 최씨(崔氏)다운 명문(名門)의 전통(傳統)이 아닌가 사료(思料)된다.


시조(始祖)인 문창후(文昌侯) 휘(諱)  치원(致遠)은 12세의 어린나이로 이역(異域) 수륙만리(水陸萬里)를 이웃 고을에 가듯이 당(唐)나라에 유학(留學) 길을 떠나 심신(心身)을 연마(硏磨)하고 오직 학문(學問)에만 심취(心醉)하여 6년을 하루 같이 학문탐구(學問探究)에 열중(熱中)한 끝에 당시(當時) 중원(中原)의 대국(大國)인 당(唐)나라 과거(科擧)에 단번에 장원급제(壯元及第)하여 당(唐)나라에서 선주률수현위(宣州溧水縣尉)로 시사(始仕)하여 승무랑시어사내공봉(承務郞侍御史內供奉)에 이르러 자금어대(紫金魚袋)≪紫金魚袋란 붉은 금(金)빛으로 수(繡)를 놓아 물고기 모양으로 만든 주머니로서 천자(天子)의 대궐(大闕)을 하시(何時)라도 출입(出入)할 수 있는 하나의 신표(信標)≫를 하사(下賜) 받는 특전(特典)의 영광(榮光)을 가졌다.


당(唐) 나라에서 황소(黃巢)가 반란(叛亂)을 일으키자 병마도통(兵馬都統) 고변(高騈)이 이를 토벌(討伐)할 때 공(公)이 반적(叛賊) 황소(黃巢)에게 보내는 격문(檄文)을 지었는데 황소(黃巢)가 이 격문(檄文)을 받아보고 자신(自身)도 모르게 의자에서 떨어졌다 하는 명문(名文)을 지음으로써 당(唐) 천하(天下)에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그 후 귀국(歸國)하여 신라(新羅) 진성여왕(眞聖女王)에게 시무십여조(時務十餘條)의 상소(上疏)를 올려 난세((難世)의 국정(國政)을 바로 잡으려고 하였으나 이미 기울어져 가는 조정(朝廷)에서 시행(施行)하지 않벼슬을 버리고 산수간(山水間)을 해매며 정자(亭子)에 오르고 송죽(松竹)을 벗삼아 음풍농월(吟風弄月)로 세월(歲月)을 보내던 중 가야산(伽倻山)으로 들어간 후 뒷 소식(消息)이 없어 그의 종적(蹤跡)을 찾을 길이 없었다.


그가 남긴 문장(文章)과 필적(筆蹟)은 오늘날 학문(學問)의 조종(祖宗)으로써 만인(萬人)의 추앙(推仰)을 받고 해동(海東)의 명현(名賢)으로 문조(文廟)에 배형(配亨)되어 전국(全國) 유림(儒林)의 행사(行事)로 춘추(春秋)에 봉향(奉享)하고 있으며 그 학문(學問)은 영세불멸(永世不滅)의 교훈(敎訓)이 되고 있다.


또 당대(當代)의 학자(學者)이었던 휘(諱) 승우(承祐)는 당(唐)나라에 유학(留學)하여 3년만에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하여 문장(文章)으로 명성(名聲)을 날렸고 휘(諱) 언휘(彦撝) 역시 당(唐)나라에 유학(留學)하여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고 고려(高麗)가 개국(開國)하자 태자태전(太子太傳)에 올라 고운(孤雲) 선생(先生)과 더불어 당대 (當代) 3최(崔)로 문명(文名)을 떨쳣다.


문창후(文昌侯)의 손자(孫子)인 승로(承老)는 신라(新羅) 원보(元甫) 휘(諱) 은함(殷含)의 아들로 12세에 논어(論語)를 암송(暗誦)하여 고려(高麗) 태조(太祖)에게 경탄(驚歎)을 받고 원봉성(元鳳省) 학사(學士)에 올랐으며 특(特)히 시무책28조(時務策28條)를 올려 고려(高麗) 왕조(王祖)의 기반(基盤)을 닦는데 커다란 공헌(貢獻)을 했다.


후손(後孫)인 관가정공(觀家亭公) 휘(諱) 청(淸)은 고려말(高麗末)에 검교정승(檢校政丞)에 올랐으며 조선(朝鮮)이 개국(開國)되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落鄕)하여 은거(隱居)하엿다. 사성공(司成公) 휘(諱) 예(汭)는 조선조(朝鮮祖) 초(初)에 청백리(淸白吏)로 유명(有名)하였고 그의 손자(孫子)인 정무공(貞武公) 휘(諱) 진립(震立)은 조선(朝鮮) 선조조(宣祖朝)에 무과((武科)에 올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에 서생포(西生浦)에서 왜적(倭敵)을 격파(擊破)하고 권율(權慄) 장군(將軍)과 함께 오산(烏山) 등지에서 대승(大勝)을 거두고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策錄)되었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험천(險川) 싸움에서 적(敵)의 대군(大軍)을 맞아 싸우다가 순절(殉節)한 후 청백리(淸白吏)에 록선(錄選)되었다. 그리고 사성공(司成公) 후손(後孫)으로 수운(水雲) 휘(諱)  제우(濟愚)는 동학(東學)의 창시자(創始者)로 인내천(人乃天)의 교리(敎理)를 내세워 보국안민(保國安民)의 대도(大道)를 포교(布敎)하여 종내(終乃)는 동학혁명(東學革命)으로 승화(昇華)되었다. 또한 굴욕적(屈辱的)인 일제(日帝) 치하(治下)에서 우리 민족(民族)의 자주(自主) 독립(獨立)을 위(爲)해 남모르게 사재(私財)를 털어 독립운동(獨立運動) 자금(資金)을 아낌없이 헌금(獻金)하여 뒷 받침 하였다는 경주(慶州)의 10대(代)에 걸쳐 진사(進士)를 배출(輩出)하고 12대(代)에 이은 만석(萬石)꾼 최준(崔浚)이 있다. 해방(解放) 후 상해임정(上海臨政)의 주석(主席)이었던 백범(白凡) 김구(金九) 선생(先生)께서 조국(祖國) 땅에 첫발을 내딛고 곧바로 경주(慶州) 땅으로 달려가 손을 마주 잡고 서로 감격(感激)하였다는 바 이 역시 사성공(司成公)의 후예(後裔)로 경주시(慶州市) 교동(校洞)에 자리한 그의 저택(邸宅)은 1969년 문화공보부(文化公報部)에서「신라(新羅)의 집」으로 선정(選定)하여 관리(管理)하고 있다.  


화숙공(和淑公) 휘(諱) 현우(玄祐)의 후손(後孫)으로 한국(韓國) 독립운동사(獨立運動史)에 제1인자(第一人者)로 추앙(推仰)받는 면암(勉庵) 휘(諱) 익현(益鉉)은 조선조말(朝鮮朝末) 철종조(哲宗朝)에 문과(文科)에 올라 사헌부(司憲府) 장령(掌令)으로 재임시(在任時) 대원군(大院君)에게 경복궁(景福宮) 중수(重修)를 중지(中止)할것과 당백전(當百錢)의 폐지(廢止)등을 상소(上疏)하여 대원군(大院君)의 실정(失政)을 탄핵(彈劾)하다가 한 때 제주도(濟州島)로 유배(流配)되어 가기도 하였으나 그 후 풀려났으며 고종(高宗) 31(1894)년에 갑오경장(甲午更張)을 시작으로 단발령(斷髮令)이 내리자 「내 목은 자를 수 있으나 내 머리카락은 못 자른다」하며 대항(對抗)하다가 투옥(投獄)되기도 하였다.1905년에는 을사보호조약(乙巳保護條約)이 체결(締結)되자 의병(義兵)을 일으켜 왜적(倭敵)과 혈전(血戰)중 체포(逮捕)되어 대마도(對馬島)로 유배(流配)되어 갔다. 배일(排日)의 거두(巨頭)답게 그곳에서 주는 음식물(飮食物)은 적(敵)이 주는 것이라하여 거절(拒絶)하고 단식(斷食)하던 중 마침내 세상(世上)을 떠나고 말았다. 그의 시신(屍身)이 부산포(釜山浦)에 운구(運柩)되자 조국(祖國)의 동포(同胞)들이 이 소식을 듣고 운집(雲集) 해 통곡(痛哭)하였는데 그 곡성(哭聲)은 산천(山川)을 진동(震動)시키고 눈물은 한(恨)으로 맺혀 온 부산(釜山) 땅을 적시었다는 기록(記錄)과 함께 선생(先生)께서 순국(殉國)하신 병오(丙午)(1906)년 11월17일 인시(寅時)에 누구보다 먼저 이등박문(伊藤博文)이 만사(輓詞)로 적문(吊問)했다는 그 만사(輓詞)와 원세개(袁世凱)의 만사(輓詞)가 전(傳)하기로 등재(登載)한다.



伊藤博文(이등박문) 輓詞(만사)



起拜韓王又哭供(기배한왕우곡공) 대한(大韓)왕(王)께 절올리며 님을 위해 곡(哭)하올제


臨風灑淚雨蒼空(임풍쇄려우창공) 흐르는 눈물 바람에 날려 온 하늘에 비가오네.


名山何處占幽宅(명산하처점유댁) 고국(故國)땅 그 어느곳에 님의 유택(幽宅) 정하올가


坐以​夷西向魯東(좌이이서향노동) 그 좌향(坐向) 묻지 말라 백이(伯夷)의 서산(西山)에서 노중연(魯仲連)의 동해(東海)여라.



袁世凱(원세개) 輓詞(만사)



燔木沈羅兩可攀(번목심라량가반) 불타죽은 개자추(介子推) 빠져죽은 굴원(屈原) 충성(忠誠)함께 이룬님이신데


觸髏何史費東還(촉루하사비동환) 유해(遺骸) 무었하려 동(東)녘 고국(故國)에 옮기려나.


更無餘地葬公山(경무여지장공산) 애닲어라. 님이 묻힐 그 산(山)하나 따로 없네.



​한편 광복직후(光復直後) 대한민국(大韓民國) 임시정부(臨時政府)가  중국(中國) 상해(上海)에서 환국(還國)하자 당시(當時) 주석 (主席)김구 선생(先生)을 비롯하여 이시영(李始榮 선생(先生)등 임정요인(臨政要人) 다수(多數)가 참석(參席)한 가운데 1946년 4월 23일을 기(期)하여 맨먼저 면암선생(勉庵先生)의 위패(位牌)가 봉안(奉安)된 모덕사(慕德祠)에 찾아가 환국고유제(還國告由祭)를 올렸다 하니 이는 분명(分明) 민족사(民族史)의 정통성(正統性)을 밝히는 증언(證言)의 현장(現場)으로서 앞으로 거국적(擧國的) 추모(追慕)의 기향화(其香火)가 천추만대(千秋萬代)에 끊임이 없을 것으로 믿는다.


고유제문(告由祭文)에 의하면 「민족(民族)의 이름으로 정성(精誠)을 다하여 간략하게 제(祭)를 올리고 있아오나 차후(次後) 우리 정부(政府)가 수립(樹立)되는데로 다시 국가적(國家的)인 공식행사(公式行事)로서 예(禮)를 갖추어 올리겠습니다」라고 고유(告由)한지 43년이 지난  지난 1989년 4월 23일자(字)로 우리 정부(政府)가 새로히 중건(重建) 단장(丹粧)한 모덕사(慕德祠)에 국가(國家)에서 정(定)한 표준영정(標準影幀)을 봉안(奉安)하고 정부요인(政府要人)이 참석參席)하여 국가(國家)의 대제(大祭)를 올렸으니 이또한 우리 민족사(民族史)의 일관(一貫)된 민족정기(民族正氣)를 불러 일으킨 쾌거(快擧)의 장(場)이었다 할 것이다.


충열공(忠烈公) 휘(諱) 광위(光位)는 초휘(初諱)가 광훈(光勳)으로 고려 명종조(明宗朝)에 왜적(倭賊)을 토​평(討平)한 공(功)으로 광위(光位)로 사명(賜名)되고 상장군(上將軍)을 거쳐 내사령(內史令)에 이르러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군(封君)되었으며 그의 후손(後孫) 휘(諱) 형한(亨漢)은 호(號)가 영사정(永思亭)으로 연산군조(燕山君朝)에 군(君)에게 왕도(王道)가 무너지는 것을 한탄(恨歎)하면서 백관(百官)의 법도(法道)와 질서(秩序)를 바로 잡으려고 직간(直諫)을 거듭하며 계하(階下)에서 부복(俯服)하여 충간(忠諫)하였으나 가납(嘉納)되지 않자 그 자리에서 자진(自盡)하였다 하며 이 외에 고려(高麗) 정치사(政治史)에 빛나는 휘(諱) 량(亮) .휘(諱) 여해(汝諧)등을 비롯하여 문명(文名)을 떨친 휘(諱) 백윤(伯倫) 그리고 조선조(朝鮮朝)에 창의(倡義)한 절의(節義) 신하(臣下) 휘(諱) 동보(東輔)와 선조조(宣祖朝)의 선무공신(宣武功臣) 경상우후(慶尙虞侯) 휘(諱) 봉천(奉天).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추증(追贈)된 휘(諱) 중복(仲福).한말(韓末)의 독립운동사(獨立運動史)에 혁혁(赫赫)한 휘(諱) 창식(昌植).휘(諱) 봉환(鳳煥)등은 경주최씨(慶州崔氏)에서 배출(輩出)한 명사(名士)들로서 그들의 기품(氣稟)은 최씨(崔氏)의 맥(脈)을 이어받은 충직(忠直)한 명문(名門)을 더욱 빛나게 하여 세인(世人)의 귀감(龜鑑)이 되고 있다.



관향지(貫鄕地)의 연혁(沿革)



慶州는 慶尙北道 東南部에 위치(位置)하며 신라(新羅)의 발상지(發祥地)로서 영일만(迎日灣)으로 들어가는 형산강(兄山江)상류(上流)에 펼쳐진 평야(平野)를 중심(中心)으로 사방(四方)이 산(山)으로 둘러 쌓인 천연(天然)의 성곽(城郭)을 이룬 지형(地形)이다.


고전(古典)에 보이는 서기전(西記前) 517년에 개국(開國)한 진한(辰韓)의 사로국(斯盧國)이 이에 해당(該當) 된다 하겠다.


사로(斯盧)는 즉(卽) 서라벌(徐羅伐)로서 혁거세간(赫居世干)이 개국(開國)한 곳이며 후(後)에 신라(新羅)로 개칭(改稱)되었으며 탈해왕(脫解王) 9(65)년에 시림(始林)에 계이(鷄異)「김알지(金閼智) 탄생(誕生) 전설(傳說)」가 있어 이를 계림(鷄林)이라 개칭(改稱)하고 국호(國號)도 계림(鷄林)이라 하였다. 그후 기임왕조(基臨王朝)에 다시 신라(新羅)로 고쳐 부르다가 고려(高麗) 태조(太祖)가 신라를 병합(倂合)한 후 옛 신라(新羅) 왕도(王都)를 경주(慶州)라 이름함으로써 경주(慶州)라는 명칭(名稱)의 시초(始初)가 되었다.


고려(高麗)  태조(太祖) 23(940)년에 안동대도독부(安東大都督府)를 두고 읍(邑)을 다스리는 관청(官廳)으로 경주사(慶州司)를 두었다. 성종(成宗) 6(987)년에는 동경(東京)이라 하여 유수(留守)를 두었고 목종조(穆宗祖)에 락랑군(樂浪郡)으로 강등(降等)되었으며 현종조(顯宗祖)에 다시 경주(慶州)라 하고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 이어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 경주목(慶州牧)으로 개칭(改稱)되었고 그 후 유수(留守) 또는 지관(知官)을 두는 등 변천(變遷)을 거듭하다가 충열왕조(忠烈王祖)에 계림부(鷄林府)라 하였다. 조선(朝鮮) 태종(太宗) 15년(1415)년에 다시 경주부(慶州府)로 하고 세조조(世祖朝)에 진(鎭)을 두었으며 고종(高宗) 32년(1895)에 군(郡)으로 되었다. 1955년에 경주시(慶州市)로 승격(昇格)되었으며 경주군(慶州郡)의 여타 (餘他)지역(地域)은 월성군(月城郡)으로 되었다.



서기 1977년 5월 12일 발행

 범 최 씨 통 사 (汎 崔 氏 通 史) 중에서

발행인  최 형 우

 발 행 처   최씨전국대종연합회

경상북도 경주시 황​오동 326-1(태종로6)

 054-749-0526​
편 저 자   최 원 희

 편 집 인   한국씨족문화연구원 



汎崔氏歷史, 得性祖 突山 高墟村長 蘇伐都利公님 약전 << 최/씨/선/계/보/(崔/氏/先/系/譜),   최/씨/세/계/분/파/도(崔/氏/世/系/分/派/圖), 경주최씨(慶州崔氏) 분파세계표(分派世系表) >>

2015.07.23. 10:45 수정 삭제

복사 http://blog.naver.com/by80150/220428712040

전용뷰어 보기


   

謹賀新年                                

지난해 도와주신 厚意에 깊이 感謝 드리며                                           한가위 명절을 맞이하여 가정에 건강과

     새해에도 더욱 努力하겠습니다.                                                   행복이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양산재(楊山齋)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에 위치한 양산재는 신라개국전 6부 촌장님의 패를 모신

사우로서 매년 음력 8월 23일 향사를 봉행하고 있다.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690   

 

 

안녕하세요. 우리최씨(崔氏) 득성조(得姓祖)이신 공(公)께서 처음 형산(兄山)으로내려와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 촌장(村長)이 되시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기원전 57년경 이 때에 옛 조선유민(朝鮮遺民)이 동해변(東海邊)산곡간(山谷間)에 흩어져 육촌(六村)을 이루어 집단(集團)으로 살고 있었으니 이를 진한(辰韓)육부(六部)라 하였다. 그 당시 임금이 없고 육촌장(六村長)만 있었으므로 공(公)께서는 제촌장(諸村長)들과 유덕(有德)한 임금을 세울 것을 결의(決議)한 후 높은 곳에 올라 남(南)쪽을 바라보고 있을때 양산(楊山)밑

 

line_characters_in_love-1나정(蘿井)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700-1 


대한민국사적
지정번호 사적 제245호
(1975년 11월 20일 지정)
소재지 경북 경주시 탑동 700-1
제작시기 신라

곁에 이상한 기운이 땅 위에 서리고 백마(白馬)가 꿇어앉아 절을 한다. 살펴보니 말은 하늘로 솟아 오르고 붉은 알 하나가 있음으로 이를 쪼개어 보니 동남(童南)이 알 속에서 탄생(誕生)하다. 공(公)께서는 천자(天子)의 탄생(誕生)으로 생각(生覺)하고 동천(東泉)에 목욕시켜 이름을 혁거세(赫居世)라 일컬었고 사람들은 이르기를 이제 천자(天子)가 탄강(誕降)하였으니 마땅히 유덕(有德)한 여군(女君)을 맞이하여야 한다하여 사량리(沙粱里) 알영정(閼英井) 계룡(鷄龍)의 좌협(左脅)에서 탄생(誕生)한 동여(童女)를 받들어 알영(閼英)이라 이름하고 남산(南山)서편(西便)기슭에 궁실(宮室)을 세우고 이성(二聖)을 정성(精誠)것 봉양(奉養)하여 십삼세(十三歲)가 되던 한선제오봉원년(漢宣帝五鳳元年) 서기전 57년 갑자(甲子) 하(夏)사월병진(四月丙辰)에 오촌장(五村長)과 더불어 왕(王) 후(后)로 추대(推戴)하니 곧 신라개국(新羅開國) 시조왕(始祖王)인 박혁거세(朴赫居世) 거서간(居西干)의 개국창업(開國創業)의 역사(歷史)이다. 유리(儒理)왕(王) 九年(서기 32년) 임진(壬辰)에 공(公)에게 개국좌명(開國佐命)의 공(功)이 있다하여 고허촌(高墟村)을 위사량부(爲沙梁部)라 하고 촌장(村長)을 대인(大人)이라 하였으며 육부(六部)의 성씨(姓氏)를 사성(賜姓)할때 <<삼국사기>>(신라본기제1권,유리이사금條)알천(閼川)양산촌장(楊山村長)알평(謁平)공(公) 위량부(爲梁部)에 이씨<李氏>를 무산(茂山)대수촌장(大樹村長)구례마(俱禮馬)공(公) 위점량부(爲漸梁部)에 손씨<孫氏>, 취산(觜山)진지촌장(珍支村長)지백호(智佰虎)공(公) 위본피부(爲本彼部)에 정씨<鄭氏>, 금산(金山)가리촌장(加利村長)지타(祗沱)공(公) 위한기부(爲漢祇部)에 배씨<裵氏>, 명활산(明活山)고야촌장(高耶村長)호진(虎珍)공(公) 위습비부(爲習比部)에 설씨<薛氏>, 돌산(突山)고허촌장(高墟村長)소벌도리(蘇伐都利)공(公) 위사량부(爲沙梁部)에 최씨<崔氏>,성(姓)을 내려 주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삼국유사(三國遺史)에서는 위의 6부 촌장님이 모두 하늘에서 내려온 것으로 기록(記錄)하고 있다. 법흥(法興)왕(王) 三年(서기 516년) 병신(丙申)에 득성조 소벌도리公 님께 시호(諡號)를 충의군(忠宜君)이라 하였으며 태종무열(太宗武烈)왕(王) 三年(서기 656년) 병진(丙辰)에 문열왕(文烈王)으로 추봉(追封)하다.경주 양산재에서 매년 가을 삼한,진한6부 대 부족장님의 개국원훈에 감은하는 향사[신라대제]가 국가 문화제 행사로 봉행된다. 삼한,신라기원 최씨들은 문열왕 최소벌도리공님과 24대손인 ^^한문학의 시조^^  최치원님을 상하대로 세계를 이어왔다.

*

 

소벌도리
[간략정보]
  • 한자
  • 분야
  • 유형
  • 시대
  • 성격
  • 성별
  • 집필자
생몰년 미상. 신라 초기의 씨족장.
원시 신라를 구성한 육촌(六村)의 하나인 고허촌(高墟村)의 촌장으로, 뒤에 육부(六部)의 하나인 사량부(沙梁部)의 시조가 되었다. ≪삼국사기≫에는 소벌공(蘇伐公)이라 했는데, ‘소벌’은 신라의 옛 칭호인 ‘서라벌(徐羅伐)’을 약칭한 ‘서벌(徐伐)’이라 생각된다.
한편 도리는 집단의 뜻을 가진 ‘돌’·‘두레’의 사음(寫音 : 소리를 그대로 옮겨 적는 것)이라 짐작된다. 또 고허촌의 ‘고허’는 ‘소벌’의 한역(漢譯)일 것이라 짐작된다.
≪삼국유사≫의 전설적인 기사에 따르면, 처음에 육촌에 소벌도리와 알평(謁平 : 及梁部의 시조)·구례마(俱禮馬 : 牟梁部의 시조)·지백호(智伯虎 : 本彼部의 시조)·지타(祉沱 또는 只他 : 韓岐部의 시조)·호진(虎珍 :習比部의 시조)의 6명이 하늘에서 내려와 각기 육촌의 촌장이 되고, 동시에 육부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그 뒤 기원전 69년 3월 1일에 소벌도리 등 육촌의 우두머리들이 각기 자제들을 이끌고 알천(閼川) 기슭에 모여, 덕이 있는 자를 찾아 군왕으로 삼을 것과 수도를 정할 것을 의결했다고 한다.
이에 양산(楊山 :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 南山) 아래 나정(蘿井) 곁에서 난생아(卵生兒)인 혁거세(赫居世)를 얻어 거슬한(居瑟邯, 居西干)으로 추대하고, 기원전 57년에 그를 왕으로 삼았다고 한다.
한편 ≪삼국사기≫에 따르면, 나정 곁에서 혁거세를 발견한 사람이 소벌공, 곧 소벌도리였다고 하며, 그는 혁거세를 집에 데리고 와서 10여 세가 될 때까지 양육했다고 한다.
이와 같은 전설은 씨족장들이 모여 부족장을 선출하던 원시 신라 사회의 모습을 전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따
라서 소벌도리 등 이른바 촌장들은 원시 신라를 구성하던 유력한 씨족장들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문헌]
  • 『삼국사기(三國史記)』
  • 『삼국유사(三國遺事)』
  • 「신라의 기원문제」(이병도, 『진단학보』 8, 1937 ;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 「사로육촌(斯盧六村)과 육촌인(六村人)의 출자에 대하여」(정중환, 『역사학보』 17·18합집, 1962)

      


line_characters_in_love-15

최/씨/선/계/보/(崔/氏/先/系/譜)


  득성조(得姓祖)소벌도리(蘇伐都利)님-<2세손>대벌이(大伐利)님-<3세손>소벌이(小伐利)님-<4세손>대평(大平)님-<5세손>호빈(昊彬)님-<6세손>광윤(桄允)님-<7세손>장남(長男)조(厝)님-<8세손>서(屖)님-<9세손>공(?)님-<10세손>국(局)님-<11세손>장남(長男)무(茂)님-<12세손>비(岯)님-<13세손>개(玠)님-<14세손>창(敞)님-<15세손>은의(殷義)님-<16세손>서봉(瑞鳳)님-<17세손>혜양(惠陽)님-<18세손>태임(太任)님-<19세손>동웅(東雄)님-<20세손>장남(長男)형공(亨公)님-<21세손>임분(林芬)님-<22세손>장남(長男)계양성(桂陽聖)님-<23세손>장남(長男)산윤(山允)일명,견일(肩逸)님-<24세손>장남(長男)경주최씨(慶州崔氏)시조(始祖)치원(致遠)님-<25세손>장남(長男)은함(殷含)님-<26세손>장남(長男)승로(承老)님-<27세손>장남(長男)숙(肅)님-<28세손>장남(長男)제안(齊顔)님.  <27세손>차남(次男)량(亮)님.  <27세손>삼남(三男)의(儀)님-<28세손>주(周)님. <27세손>사남(四男)우(遇)님. <26세손>차남(次남)윤로(胤老)님-<27세손>장남(長男)방언(邦彦)님-<28세손>지윤(之潤)님. <27세손>차남(次男)림(琳)님-<28세손>호(昊)님. <27세손>삼남(三男)종지(宗祗)님-<28세손>언(彦)님. <25세손>차남(次男)도함(道含)일명,윤순(允順)님-<26세손>첨로(添老)님.  <28세손>선지(善之)님.  <24세손>차남(次男)서원(棲遠)님.  <23세손>차남(次男)산두(山斗)님-<24세손>인곤(仁滾)님-<25세손>도(道)님-<26세손>창로(昌老)님. <23세손>삼남(三男)이정(利貞)님-<24세손>장남(長男)승우(承佑)님-<25세손>준옹(俊邕)님-<26세손>동무(東武)님. <24세손>차남(次男)우달(佑達)님-<25세손>응(凝)님-<26세손>상(祥)님. <22세손>차남(次男)계양현(桂陽賢)님-<23세손>언휘(彦撝)님-<24세손>장남(長男)광윤(光胤)님. <24세손>차남(次男)행귀(行歸)님. <24세손>삼남(三男)광원(光遠)님-<25세손>항(沆)님-<26세손>장남(長男)유부(有孚)님-<27세손>공익(公翊)님-<28세손>지(贄)님.  <26세손>차남(次男)영부(永孚)님. <20세손>차남(次男)형일(亨一)님-<21세손>선경(?)님-<22세손>창(昌)님. <11세손>차남(次男)동지내(東之奈)님. <7세손>차남(次男)지(之)님.

  

                    

                         서기 1977년 5월 12일 발행                         

 범 최 씨 통 사 (汎 崔 氏 通 史) 중에서

발행인  최 형 우

 발 행 처   최씨전국대종연합회

경상북도 경주시 황​오동 326-1(태종로6)

 054-749-0526​
편 저 자   최 원 희

 편 집 인   한국씨족문화연구원 

 

 

                              


                                                 


 

                          

 최/씨/세/계/분/파/도(崔/氏/世/系/分/派/圖)

 

 

 득성조(得姓祖)소벌도리(蘇伐都利)님-<2세손>대벌이(大伐利)님-<3세손>소벌이(小伐利)님-<4세손>대평(大平)님-<5세손>호빈(昊彬)님-<6세손>광윤(桄允)님-<7세손>장남(長男)조(厝)님-<8세손>서(屖)님-<9세손>공(?)님-<10세손>국(局)님-<11세손>장남(長男)무(茂)님-<12세손>비(岯)님-<13세손>개(玠)님-<14세손>창(敞)님-<15세손>은의(殷義)님-<16세손>서봉(瑞鳳)님-<17세손>혜양(惠陽)님-<18세손>태임(太任)님-<19세손>동웅(東雄)님-<20세손>장남(長男)형공(亨公)님-<21세손>임분(林芬)님-<22세손>장남(長男)계양성(桂陽聖)님-<23세손>장남(長男)산윤(山允)일명,견일(肩逸)님-<24세손>장남(長男)경주최씨(慶州崔氏)시조(始祖)치원(致遠)님-<25세손>장남(長男)은함(殷含)님-<26세손>장남(長男)승로(承老)님-<27세손>장남(長男)숙(肅)님-<28세손>장남(長男)제안(齊顔)님. <27세손>차남(次男)량(亮)님강릉최씨일파(휘필달님,간성최씨일파휘지순님).(휘문한님,강화최씨일파),통천,화순,원주,태인,우봉최씨일파【江陵崔氏(諱必達님.杆城崔氏諱之洵님).(諱文漢님,江華崔氏).通川,和順,原州,泰仁,牛峰崔氏】. <27세손>삼남(三男)의(儀)님-<28세손>주(周)님청주최씨일파(용강,부안최씨일파).양주,수원,함양,밀양,광주,고부최씨일파【州崔氏(龍岡,扶安崔氏).楊州,水原,咸陽,密陽,廣州,古阜崔氏】. <27세손>사남(四男)우(遇)님연풍,직산,무주,문경최씨일파【延豊,稷山,茂珠,聞慶崔氏】. <26세손>차남(次男)윤로(胤老)님-<27세손>장남(長男)방언(邦彦)님-<28세손>지윤(之潤)님. <27세손>차남(次男)림(琳)님-<28세손>호(昊)님. <27세손>삼남(三男)종지(宗祗)님-<28세손>언(彦)님.  <25세손>차남(次男)도함(道含)일명,윤순(允順)님계림최씨일파【鷄林崔氏】-<26세손>첨로(添老)님해주최씨일파(아산,용궁,용주,죽산,청송최씨일파),탐진최씨일파(나주,강진,괴산최씨일파).진주최씨일파【海州崔氏(牙山,龍宮,龍州,竹山,靑松崔氏),耽津崔氏(羅州,康津,槐山崔氏).晋州崔氏】-<28세손>선지(善之)님영흥,월성최씨일파【永興,月城崔氏】. <24세손>차남(次男)서원(棲遠)님.  <23세손>차남(次男)산두(山斗)님삭녕최씨일파【朔寧崔氏】-<24세손>인곤(仁滾)님-<25세손>도(道)님-<26세손>창로(昌老)님. <23세손>삼남(三男)이정(利貞)님낭주,철원,전주최씨일파(휘군옥님)朗州,鐵原,全州崔氏(群玉님)】-<24세손>장남(長男)승우(承佑)님-<25세손>준옹(俊邕)님동주최씨일파【東州崔氏】-<26세손>동무(東武)님.  <24세손>차남(次男)우달(佑達)님)님개성최씨일파【開城崔氏】-<25세손>응(凝)님상원최씨일파祥原崔氏】-<26세손>상(祥)님.  <22세손>차남(次男)계양현(桂陽賢)님-<23세손>언휘(彦撝)님전주최씨일파(휘순작님.완산,초계,광양.양천,금천최씨일파).(휘아님.강릉최씨일파휘흔봉님),(휘균님.곡강,순천,영천최씨일파)흥해,황주최씨일파【全州崔氏(諱純爵님.完山,草溪,光陽.陽川,衿川崔氏).(諱阿님.江陵崔氏諱欣奉님).(諱均님.曲江,順川,永川崔氏)興海,黃州崔氏】-<24세손>장남(長男)광윤(光胤)님안동최씨일파【安東崔氏】. <24세손>차남(次男)행귀(行歸)님. <24세손>삼남(三男)광원(光遠)님-<25세손>항(沆)님-<26세손>장남(長男)유부(有孚)님-<27세손>공익(公翊)님-<28세손>지(贄)님. <26세손>차남(次男)영부(永孚)님.  <20세손>차남(次男)형일(亨一)님-<21세손>선경(?敬)님-<22세손>창(昌)님. <11세손>차남(次男)동지내(東之奈)님. <7세손>차남(次男)지(之)님.


 

경주최씨(慶州崔氏) 분파세계표(分派世系表)

 

 

始  祖  2세손 3세손 4세손 5세손  6세손 7세손 8세손 9세손 10세손 11세손  12세손           파명

최치원   은함   승로   숙   제안    계훈   현배   습   유경   자운    청     연지        觀稼亭公(諱)淸派

崔致遠 ─ 殷含 ┬ 承老 ┬ 肅 ─ 齊顔  ┬ 繼勳 ┬ 玄培 ─ 隰 ─ 有慶 ┬ 子雲 ┬  淸  ┬  淵止     → 관가정공(휘)청파

        │   │       │   │           │   │관가정│  신지         

        │   │       │   │          │   │   ├  信止

        │   │       │   │          │   │   │  검지

        │   │       │   │          │   │   ├  儉止

        │   │       │   │          │   │   │  한지

        │   │       │   │          │   │   └  漢止

        │   │       │   │          │   │  강    온손          判書公(諱)江派

        │   │       │   │          │   └  江 ┬  溫孫      → 판서공(휘)강파

        │   │       │   │          │     판서공│  계손           

        │   │       │   │          │       ├  係孫

        │   │       │   │          │       │  검손

        │   │       │   │          │       └  儉孫

        │   │       │   │          │ 수운   호    단           匡靖公(諱)鄲派

        │   │       │   │          ├ 峀雲 ┬  澔 ┬   鄲       → 광정공(휘)단파

        │   │       │   │          │   │   │ 광정공          

               │     │            │     │                   │     │     │ 현진        判書公(諱)賢進派

               │     │            │     │                   │     │     └  賢進     → 판서공(휘)현진파

               │     │            │     │                   │     │        판서공       

               │      │             │      │                    │      │        

               │      │             │      │                    │      │  진      지철          判書公(諱)進派

               │      │             │      │                    │      ├  津  ┬  之哲       → 판서공(휘)진파

               │      │             │      │                    │      │판서공│  호남          

               │      │             │      │                    │      │      └  好男

        │   │       │   │          │   │  연    윤공                尙書公(諱)淵派

        │   │       │   │          │   └  淵 ─  允公      → 상서공(휘)연파

        │   │       │   │          │    상서공                  

        │   │       │   │          │ 해운   흘    상형

        │   │       │   │          └ 海雲 ─  汔 ─  尙泂    → 左尹公(諱)海雲派

        │   │       │   │ 현우         좌윤공                        좌윤공(휘)해운파

        │   │       │   ├ 玄祐

        │   │       │   │ 현진   수  구정   반    윤지

        │   │       │   └ 玄進 ┬  修 ─ 九鼎 ─  盤  ─ 潤地

        │   │       │       │  환  안준   유정   기    세청       吉城君(諱)有井派

        │   │       │       ├  渙 ─ 安俊 ─ 有井 ┬  淇 ─  世淸   → 길성군(휘)유정파

        │   │       │       │        길성군│  호    세징       

        │   │       │       │           ├  浩 ─  世澄

        │   │       │       │           │  홍    세연

        │   │       │       │           └  泓 ─  世淵

        │   │       │       │  탁  송무  수안  윤겸    홍용         鷄林君(諱)倬派

        │   │       │       └  倬 ─ 松茂 ┬ 守安 ─ 允謙 ┬  鴻龍     → 계림군(휘)탁파

        │   │       │        계림군    │       │  봉용      

        │   │       │               │       ├  鳳龍

        │   │       │               │       │  삼용

        │   │       │               │       └  三龍

        │   │       │               │   찬    훈   중엽

        │   │       │        판서공    └   瓚  ─  焄 ─ 重燁

        │   │       │ 문훈   연   사원  중윤   명   입팽   계상       判書公(諱)士元派

        │   │       ├ 文勳 ─  漣  ┬ 士元 ─ 仲允 ─  明  ─ 立伻 ─ 繼常   → 판서공(휘)사원파

        │   │       │        │ 사형  광위  종포   일   재연       忠烈公(諱)光位派

        │   │       │        ├ 士亨 ─ 光位 ─ 宗浦 ─  逸 ─ 再延    → 충렬공(휘)광위파

        │   │       │        │ 사리  충렬공                              

               │      │             │              ├ 士利

               │      │             │              │ 사정

               │      │             │              └ 士貞 

        │   │       │ 상훈   수   준   구호  종진  첨년  경희            侍中公(諱)尙勳派

        │   │       └ 尙勳 ┬  洙  ┬  俊 ─ 九昊 ─ 宗津 ─ 添年 ┬ 敬熙   → 시중공(휘)상훈파

        │   │        시중공│   │               │ 경원        

        │   │           │   │               ├ 敬元

        │   │           │   │               │ 경문

        │   │           │   │ 윤             └ 敬文

        │   │ 우          │  무 └  倫

        │   ├  遇          └  懋  

        │   │  의    주  기우  응청  정일  형삼  지윤  신우  동국         淸城侯(諱)周派

        │   ├  儀  ─  周 ─ 奇遇 ┬ 應淸 ─ 正日 ─ 亨三 ─ 智允 ─ 信友 ─ 東國     → 청성후(휘)주파

        │    │  량   청성후    │ 응시  정호  형구  유의  만선  창묵          

        │   └  亮         └ 應時 ─ 正浩 ─ 亨九 ─ 由義 ─ 萬善 ─ 昌默

        │ 윤로  방언  지윤  환   득해   규   세홍  충량   타   호남         文順公(諱)渙派

        └ 胤老 ┬ 邦彦 ─ 之潤 ─ 渙 ┬ 得海 ─  珪 ┬ 世洪 ┬ 忠良 ─  沱 ─ 好男     → 문순공(휘)환파

            │        문순공│       │   │ 충보   흡   호응         

            │           │       │   ├ 忠輔 ┬  洽 ┬ 好應

            │           │       │   │   │   │ 정생

            │           │       │   │   │   └ 挺生

            │           │       │   │   │  소   몽로

            │           │       │   │   └  沼 ─ 夢老

            │           │       │   │ 충정   관   몽천

            │           │       │   └ 忠貞 ─  灌 ┬ 夢天

            │           │       │           │ 몽필

            │           │       │           └ 夢必

            │           │       │ 여홍  충좌   송   중무

            │           │       └ 汝洪 ─ 忠佐 ┬  松 ─ 仲茂

            │           │               │  회   함진

            │           │               ├  檜 ─ 含眞

            │           │               │  빈

            │           │               └  彬

            │           │ 정해   각   내홍  충익   남

            │           └ 正海 ─  珏  ┬ 乃洪 ─ 忠翊 ─  楠

            │                   │ 구홍  충식   작    엽

            │                   └ 九洪 ┬ 忠植 ─  柞  ─  燁

            │                       │ 충직

            │                       └ 忠直

            │  림   호   공균   대   자수   전  충윤  운택   계          學士公(諱)琳派

            ├  琳 ─  昊 ─ 公均 ─  玳 ─ 資壽 ─  佺 ┬ 忠潤 ┬ 雲澤 ┬  係       → 학사공(휘)림파

            │학사공                    │   │   │  읍            

            │                       │   │   └  泣

            │                       │   │ 운호

            │                       │    └ 雲浩

            │                       │ 충한

            │                       └ 忠漢

            │ 종지   언   방로  근성  습용  홍   흥무  구정   산해       進士公(諱)宗祗派

            └ 宗祗 ─ 彦  ─ 邦老 ─ 近成 ─ 濕龍 ─ 洪  ─ 興茂 ─ 九精 ┬ 山海    → 진사공(휘)종지파

             진사공                            │ 치해       參奉公(諱)鳳朝派

                                            └ 峙海    → 참봉공(휘)봉조파

                                                                                                                                                   

                                 

시  조  2세손 3세손 4세손 5세손 6세손 7세손 8세손 9세손 10세손 11세손 12세손           파명

최치원  윤순              선지  적손    백유    인지     선     함일   홍재     호          정랑공(휘)호파

崔致遠 ─ 允順 ─ ○○ ─ ○○ ─ 善之 ┬ 適孫 ─ 白楡 ─ 仁祉 ┬     咸─ 弘載 ┬          正郞公(諱)灝派

                                       │                      │                     │  예          사성공(휘)예파
                                       │                      │                     ├  汭       司成公(諱)汭派
                                       │                      │                     │  한          송오공(휘)한파
                                                             │                     └  漢       松塢公(諱)漢派
                                       │                      │  제     함대   홍기    종식         문밀공(휘)제파
                                       │                      └  堤  ─ 咸大 弘起宗式      文密公(諱)堤派
                                       │                        문밀공                                       
                                       │                                     │ 홍원     
                                       │                                     弘遠 ─ 
                                       │ 적립   종유   인호    돈예    정분    간      석          동성군(휘)종유파 
                                       ├ 適立 宗楡 ┬ 仁護 ─ 敦禮 正芬─  澗  ┬  碩       → 東城君(諱)宗楡派
                                       │      │동성군│              │             │  적 
                                       │      │      │              │               磧 
                                       │      │      │              │             │  린
                                       │      │      │              │             └  磷
                                       │      │      │              │ 정화

                                       │      │      │ 인모          正華                  

                                       │      │      └ 仁謨
                                       │      │ 종재                 
                                       │      └ 宗榟   
                                       │ 사직    종빈     환     광포     적     백윤     해         문정공(휘)해파  
                                       斯直 ┬ 宗斌 ─     光褒 ─  勣  佰倫 ┬  瀣      → 文正公(諱)瀣派
                                               │                                      │문정공          
                                               │                                      │  지
                                               │                                      └  潪
                                               │ 종식    지미    종태    불타     근     양수      영흥벡(휘)지미파
                                               ├ 宗識 ─ 之美 ─ 終泰 ┬ 佛佗 ─  斤  ─ 良守   → 永興伯(諱)之美派
                                               │        영흥백        │ 한기    조연    지덕
                                               │                      └ 閑奇 ┬ 造延 ─ 之德
                                               │                              │ 방보    원덕
                                               │                              └ 方甫 ─ 元德
                                               │ 득용    읍송    수경     갑     유천     돌       목사공(휘)득용파
                                               └ 得龍 ─ 邑松 ─ 水京 ─  甲  有川 ─  突    → 牧使公(諱)得龍派
                                                 목사공

 

 

 

시  조  2세손 3세손 4세손 5세손 6세손 7세손 8세손 9세손 10세손 11세손 12세손        파명

최치원                            애   현우   습    계운  첨로     화숙공(휘)현우파   

崔致遠 ─ ○○ ─ ○○ ─ ○○ ─ ○○ ─ ○○ ─ ○○ ─  藹  ┬ 玄祐 ┬  濕  ┬ 繼雲 ─ 添老   和淑公(諱)玄祐

                                                    │화숙공│      │ 서운     이

                                                          │    │    │ 瑞雲 ─  邇

                                │   │    │ 근운  신로

                                │   │    └ 瑾雲 ─ 信老

                                                   │      │  잉  │ 방준     침

                                                               │      ├  陾   方濬 ─  沉     

                                                           │      │      │ 안준     천

                                │   │    ├ 安濬 ┬ 

                                │   │    │   │  징

                                │   │    │   └  澄

                                │   │    │ 원준   석현

                                │   │    └ 元濬 ─ 石賢

                                 │   │  주   상렴   인

                                │   └  周  ┬ 尙濂 ┬  寅

                                │        │    │  주

                                │        │    └  宙

                                │        │ 상겸   식

                                │              └ 尙謙 ┬  寔

                                │            │  실

                                │            └  實

                                                               │

                                │ 광우   자연  중경   흡       밀직공(휘)광우파

                                   └ 光祐 ─ 自然 ─ 重敬 ─  洽    → 密直公(諱)光祐

                                   밀직공                                                         

 계양현

 桂陽賢

     ↓

전주최씨​

全州崔氏

중조언휘  광윤                        

中祖彦撝 ┬ 光胤                        

     │ 행귀                        

     ├ 行歸                        

     │ 광원   항   유부  공익   지   충구  정번  지목   숭   혼연   빈        절의공(휘)항파

     └ 光遠 ─ 沆  ┬ 有孚 ─ 公翊 ─  贄 ─ 忠球 ─ 正藩 ─ 之牧 ─  崇  ┬ 渾然  ─ 濱    → 節義公(諱)

         절의공│                            │ 호연   위       

            │                            └ 浩然  ─ 渭

            │ 영부

            └ 永孚   

 

 사단법인 경주최씨 대종회

  최씨세계분파도와

 참고문헌 ; 범 최 씨 통 사 (汎 崔 氏 通 史) 중에서

    

경상북도 경주시 황​오동 326-1(태종로6)

 054-749-0526

line_characters_in_love-7

경주최씨참판공파종...
 line_characters_in_love-6

 02) 977-3806 서울 노원구 공릉동 576- 19 (하이서울빌딩 8층)


 

 

   慶州崔氏 參判公 (諱)光門 宗中會


  <<추  향  제, 秋享祭>>

 

​1. 일        시 ; 매 년 음력 10 월 7 일 오전 10 시부터

2, 장        소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용정리 산29(성지2길103)<하독정>송산,(松山)어래산,御來山

3. 정기  총회 ; 당일,오후 장소,추후 안내

 

 연락처; 회장 최창근 010 - 5319 - 5911

 

  ※ 찾아 오시는 길 
                                      
중교통편; 수도권1호선 청량리역지하철 7호선 상봉역 하차,<환승>→경춘선,춘천행 승차,
사능역 하차,→ 시내버스 202번,165-3번,9번,9-1번,91번승차,
진건읍 지나서 하독정입구 하차,→ 용정1리(하독정.마을회관) 도보로 15분거리.
 ☞버   스   편; 서울 청량리역 앞에서→ 202번 오남읍행 승차,진건읍 지나서 하독정입구
 하차,→용정1리(하독정) 마을회관 도보로 15분거리.   
 네비게이션;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용정리 산29(독정로 성지2길103)
 


회장인사 말씀


  안녕하십니까?


30세손 창근 입니다.


세월이 유수와 같이 흘러 임기를 마치는 시점에 와 있습니다.

힘들고 어려웠던 일들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갑니다.


회유와 협박도 있었으며 고소. 고발도 당했습니다.


아직도 한 종인은 종중을 상대로 고소를 남발하여 선량한 종인들을 선동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감언이설에 속지 마시길 당부 드립니다.


종인 여러분


6년 동안 종사를 보면서 불의와는 타협하지 않고 오직 정도를 걸어 왔습니다


임기를 무사히 마치고 이 자리에 있는 것은 격려와 용기를 주시고 따끔한 충고도 마다하지 않으신 종인 여러분들 덕분이며 이 자리를 빌어 갑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존경하는 종인 여러분


혼란과 분열의 아픈 과거가 또 다시 되풀이 되지 않도록 종중의 발전을 위해 많은관심 가져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종인들과 화합하고 어우러질 수 있는자리, 정을 나누며 서로를 기억하고 우리의 옛 조상을 기리는 자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2015년 11 월 1 8 일

경주최씨 참판공파 종중회


 30세손 회장 최창근

 

 


  종손 격려사


​종친 여러분 반갑습니다.

30세손 준식 입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종사에 관심을 갖고 참석 해 주신 종친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이전 투구로 얼룩졌던 종사가 종친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회장님의 부단한 노력으로 체계적이고 안정 되었습니다.

해마다 추향제를 모시고 정기총회를 치루면서 우리 종중이 조금씩 발전되고 있다는 걸 느낄 수 있어 참 뿌듯합니다.

종친 여러분

자신의 뿌리를 알고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알면  그 사람의 인생은 가치가 달라집니다.

전통을 중시하고 예의 법도를 소중히 여기신 우리 조상님들의 뜻을 받들어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종중 문화를 만들어 갑시다. 끝으로 추향제와 정기총회를 위해 준비 하느라 고생하신 회장님과 집행부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종친들 모두 행복하시고 내년에도 건강한 모습으로 만나 뵙길바라며​ 인사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5 년 11 월 18 일

 참판공파 

종손  준 식 배상